서재정 개인전 - 불확정성 유기적 공간

|

불확정성 유기적 공간


서재정展 / SEOJAEJUNG / 徐在禎 / painting
 


2011_0608 ▶ 2011_0614


서재정_불확정성 유기적 공간-#1_캔버스에 유채_130×130cm_2011




초대일시 / 2011_0608_수요일_06:00pm

신진작가 전시지원 프로그램

관람시간 / 평일_10:00am~06:00pm / 주말_11:00am~06:00pm




미술공간현 ARTSPACE HYUN
서울 종로구 관훈동 106번지 창조빌딩 B1
Tel. +82.2.732.5556
 www.artspace-hyun.co.kr



심미적 공간에서의 스토리텔링 ● 내가 생각하는 도심 속의 건물이란 누구나가 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며 혹은 공원을 산책하며 바라보게 되는 그런 존재이다. 서재정은 이렇게 일상 속에서 등장하는 건물의 건축적 요소들을 작품의 모티브로 사용하고 있다. 건물 사이사이 항상 똑같이 자리하고 있는 건물, 특히 이러한 건물들 속에서 작가는 건축의 장식적인 요소를 완전히 배제하고 건물이 가지는 건축적 기본구조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 작가는 현실 속 건축 공간에서 선과 면들이 모여 건물의 입구, 벽, 기둥 등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이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여러 건축물들이 모여 또 다른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내는 반복과 순환의 과정을 표현하려고 하고 있다. 마치 선과 면이 만나 새로이 만들어지는 공간들이 미로를 형성하듯, 작가의 작품 속에서는 그 비워진 공간들의 분할을 통해 보는 이로 하여금 무궁무진한 시각적 풍경이 펼쳐질 것만 같은 궁금증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서재정_불확정성 유기적 공간-#2_캔버스에 유채_130×130cm_2011
 
 
 
서재정_ILLUSORY-B_캔버스에 유채_130.3×162.2cm_2011
 

서재정의 근작들은 "Phantasmagoria(환등)"와 "ILLUSORY", "불확정성 유기적 공간"의 제목을 달고 있다. 그래서인지 작가의 작품들은 선과 면이 만나 뚜렷하게 만들어지는 건축물의 고유한 기능적 부분들을 충실히 보여주고 있으며, 건축물을 모티브로 선과 면들이 생성하여 만드는 새로운 건축 공간에 대해 "심리적 공간"으로서의 상상을 자아내고 있다. 따라서 그녀의 작품 "불확정성 유기적 공간"은 현실적인 공간을 넘어서 심리적 공간도 표현함으로서 보는 이들로 하여금 "공간"에 대한 상상의 유희를 자극하고 있다.


 
 
서재정_ILLUSORY-S_캔버스에 아크리릴, 유채_65.1×90.9cm_2011
 
 
 
서재정_ILLUSORY-H_캔버스에 아크리릴, 유채_65.1×90.9cm_2010
 

작가는 우리가 경험한 개개인의 시간과 장소 그리고 경험을 한 곳에 모을 수 있는 심리적 공간을 상상하고 있다. 이것이 "Mind Architecture"이다. 즉 현실의 모습과 개인의 심리적인 작용이 만들어 내는 유일무이한 공간들을 통해 시대의 유동적인 흐름 안에서 시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의식의 배경을 찾고, 각자의 시간과 경험을 투영시키는 공간의 단상으로써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의 뇌는 정보를 저장할 때, 태생적 한계로 인해 원래의 정보보다 간략화 된 정보로 저장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정보들이 개별적으로 존재하다가도 그녀의 작품을 연결고리로서 타인으로 하여금 그들만의 스토리텔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서재정_합리적인 상징-Arch-#2_캔버스에 유채_116.8×91cm_2007
 

이번 전시는 개인의 인식과 경험이 다양해지는 가운데 시대의 유동적인 흐름 안에서 시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의식의 배경들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현실의 모습을 건축물이라는 공간을 통해 새롭게 구성하여 각자의 시간과 경험을 투영할 수 있는 건축 공간들을 상상하게 한다. 즉 서재정은 현실 속에 규정되고 고정된 것이 아닌 보는 이로 하여금 상상을 요구하는 심리적 공간으로서 예술적 영감에 따라 자유로이 창작되고 상상되는 즐거움을 기대하는 것이 아닐까? 또한 최근의 사회적 트렌드인 "창의성 강조", "소통(Soh-Tong)" 등이 바로 그녀의 작품 속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닐지 자문해 본다. ■ 김경민


 
 
서재정_Phantasmagoria-#2_캔버스에 아크리릴, 유채_50×60.6cm_2010
 

Storytelling in an Aesthetic Space ● I think buildings in an urban area is the kind of existence that everybody looks at, while moving by transportation or talking a walk in the park. Seo Jae Jung uses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buildings that emerges in the ordinary life as a motif for her work. The artist has interest in buildings that always stand in the same place between buildings, and in particular, her interest is in the basic architectural structure that a building has, completely excluding ornamental elements among these buildings. ● The artist try to express the recurring and cycling process that many architectural buildings gather together and newly create memory of people as if lines and sides gather and make an entrance, walls and pillars of the building. The work of the artist arouses the viewers" curiosity as if unlimited visual scenes might spread through the partitions of the empty space, as the space which is created by joined lines and sides forms a maze. ● Seo Jae Jung"s recent works include such titles as "Phantasmagoria", "ILLUSORY", and "Multiply Connected Space". So, her works show functional parts intrinsic to architectural building that are created clearly by joined lines and sides, and arouses imagination as "psychological space" concerning the new architectural space that lines and sides produce and creates with architectural buildings as a motif. Accordingly, her work, "Multiply Connected Space" expresses psychological space beyond actual space, so it stimulates the play of imagination about "space" from the viewers. ● The artist imagines psychological space as a place where individual time, place and experiences which we have gone through are concentrated in one place. This is "Mind Architecture", That is, through a single space, the aspect of reality and the psychological functions which a person makes, it tries to look for the background of the consciousness which exists beyond time and space in the flexible flow of the age and tries to find the part that can be shared with others as a platform of space that projects each person"s time and experience. When our brain stores information, the information exists individually because our brain has the habit of storing information in a more simplified form than the original information due to its inherent limitation. However it makes it possible for others create their storytelling with her work as a link. ● This exhibition aims to find the background of consciousness that exists beyond time and space in a flexible flow of the age where personal recognition and experiences have become diverse. By composing the aspects of reality which we experience through the space of architecture in a new way, it makes us imagine an architectural space where individual time and experience can be projected. That is, Seo Jae Jung makes viewers expect the joy created and imagined according to artistic inspiration as a psychological space that is not stipulated nor fixed in reality. Also, we ask ourselves if what she is trying to convey is "emphasis on creation", "Soh-Tong" which is a recent social trend. ■ Kim, Kyoung Min

And